CTD
- 목적
-늑막강 내 비정상적으로 고여있는 삼출액, 혈액 또는 공기를 배출시키고 늑막강 내 음압을 유지함으로써 종격동의 변위와 폐의 허탈을 방지하며 폐의 원활한 팽창을 도모하기 위함 - 적응증
- Pneumothorax
- Hemothorax
- Pleural effusion
- Empysema
- 흉곽 수술 후 폐의 팽창 및 출혈 확인
- Mx
- CS 협진 필요, 처방 확인 후 bottle type, w/s 준비
- Fee
- 약제
- 처치
- 재료
- AAC52265 CATHETER, TROCAR (협성) <12F>
- AAP00280 PACK, CENTRAL LINE(상체+대퇴부)
- AAB35700 BOTTLE, CHEST (PANDA)<1BTL>
- AAB35800 BOTTLE, CHEST (L-1000) (C TYPE)
- ASN13200 NYLON (NB324)<#3-0>
- 시술 전 간호
- 동의서 확인: 폐쇄식 흉관삽입술 동의서
- 6시간 NPO
- Chest bottle 준비(A or C type, Y-connector)
- set 준비
- 처방 확인 후 Wall suction 준비
- 20G 이상 IV route 확보(hydration, pain control)
- Position: sitting or lateral position(시술 쪽 보이도록)
- 시술 후 간호
- V/S
- Post CXR f/u 후 위치 확인
- 필요 시 wall suction 연결(평균 pressure: 30mmHg)
- Pain control, 합병증 및 감염증상 관찰
- 배액관 관리
- bottle은 환자보다 낮게 위치
- tube 빠지거나 꼬이지 않도록
- connector 연결 부위 tape 고정
- 이동 시 CTD bottle disconnect 및 clamping 하지 않음 (lung collapse, emphysema, tension pneumothorax 유도)
- 호기 시 배액관 증류수 움직임 관찰 (💡Water level 수시로 확인 후 채우기)
- 배액량 및 양상 확인 후 기록
- 심호흡, 기침 격려(폐 허탈 예방 위해)
- Bottle
PCD
- 목적
- 복부 감염이나 농양 관찰 시 농양 배액과 빠른 상처 치유
- 간 및 담낭 질환 시 농양 제거
- COPD, ARDS, pneumonia 등 폐 염증으로 생긴 흉수로 인해 호흡 곤란 호소 하는 환자의 증상 완화
- 적응증
- Plerual effusion(흉막 삼출)
- malignant effusion(악성 삼출)
- homothorax(혈흉)
- empysema(농흉)
- pneumothorax(기흉)
- ascites(복수)
- Mx 확인
- natural drain
- 처치: M0134L Drainage(other)(1일당)
- 재료: AAB03000 BAG, BILE
- wall suction drain
- 처치: M0135J CTD wall suction
- 재료
- AAB19205 BANDAGE, ELASTIC COHESIVE (SELTWINE.W/ARM BOARD.LINER.SUCTION TUBE)
- AAB35700 BOTTLE, CHEST (PANDA)<1BTL>
- AAB35800 BOTTLE, CHEST (L-1000)[C TYPE]
- APT00450 TUBE, CONNECTING
- natural drain
- 검사 전 간호
- 동의서 확인
- 6시간 NPO
- 20G 이상 IV route 확보
- 인터벤션 consult 작성 확인
- 시술 부위 확인 후 표시
- 처방에 따른 Drain 방법 준비 → W/S 필요 시 suction bottle 준비
- 시술 후 간호
- V/S
- Post X-ray
- Clamping 위해 line 앞 3-way 연결 확인
- Drain 양상
- 양, 색, 점성, 분비물 유무 확인 후 간호기록 작성
- Bloody 한 양상 or drain 속도 빠를 경우 주치의 notify
- 처방에 따른 target drain 양 확인 후 clamp and notify
- line 및 drain bag 관리
- 꼬이거나 연결부위 빠지지 않도록 확인(환자교육)
- drain bag 삽관 부위 아래 위치, 바닥에 닿지 않도록
- 삽관부위 출혈, oozing 및 감염증상 확인
- 통증 사정 후 필요 시 notify 후 진통제 투여
- 처방된 검사 시행
구분 | CTD (Closed Thoracostomy Drainage) | PCD (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) |
---|---|---|
시술 부위 | 주로 흉강(폐와 흉벽 사이) | 흉강, 복강, 간/복부농양 등 다양한 위치 |
삽입 도구 | 굵은 흉관 (Chest tube) | 얇은 카테터 (Pig-tail catheter 등) |
시행 부서 | 흉부외과 등 | 영상의학과 |
영상 유도 | 보통 없음 (촉진, 해부학적 위치로 삽입) | 초음파/CT 유도 필수 |
적합한 내용물 | 공기, 혈액, 점성 농 | 액체성 농, 삼출액 등 비교적 묽은 것 |
침습성 | 상대적으로 더 큼 | 상대적으로 덜 큼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