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urpose
- 급성호흡부전
- 호흡곤란
- 저산소증 회복
Ventilator 조작 변수
Volume (VC)
Pressure (PC)
Frequency
FiO2
Tidal Volume
(Functional Residual Capacity, FRC) 기능적 잔기량
PEEP
- 생리적 PEEP: 성대에서 2~3cmH20 발생, 기관내 삽관할 경우 성대 생리적 PEEP 소실 ➡️ Collapsed Alveoli(폐허탈), atelectasis(무기폐)
- 호기시 Gas 완전히 빠져나가기 전 호기 Valve를 닫음
- High Peep 환자의 경우 검사실 이동시 Peep valve 이용
I:E Ratio
- 흡기보다 호기가 길어야 완전한 호기 이루어짐.
- 분당 호흡수가 빨라질수록 흡기시간과 호기시간의 비율이 짧아지면서 완전한 호기가 이루어지기 어려움
- 완전한 호기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CO2 retantion
- Auto-peep 발생 시 그래프 파형 확인: 기능적 잔기량 도달 못하고
Trigger
- Pressure Triggering
- Flow Triggering
- Auto Triggering
- 보통 Flow Triggering이 자발 호흡에 더 민감하여 주로 사용되나 해결되지 않는 Leakage 상태일 때는 Pressure triggering이 더 좋음
- Ex) Flow가 많아지는 Nebulizer 같이 적용할 경우 Pressure Triggering
Graph
- 저항
- 폐순응도(폐탄성)
- 힘 PBW(6~9ml/kg)
- PIP: 흡기 종료시 최고 압력
- Pplat(Plateau Pressure)
Mechanism
Mode
CMV(Controlled Mechanical Ventilation, Continous Mandatory Ventilation) = AC
- VC
- 1회 환기량 (Tidal Volume) 설정
- 폐손상 발생 가능 PIP 확인 필요
- ARDS 에서 VCV mode 권고
- PC
- Baro trauma 예방, 평균 기도압 유지로 폐포를 더 오래 확장
- 대체로 PC 모드 사용
- 💡Tidal Volume monitoring
ACMV(Assist Controlled Mandatroy Ventilation)
PRVC(Pressure Regulated Volume Control)
SIMV(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)
- PS(Pressure Support) 변수 추가: 강제 호흡량을 넣어주는 것이 아닌
- Weaing 목적 적용 X
PSV(Pressure Support Ventilation)
- 자발호흡 시에만 PS 제공
- Apnea Time 설정
CPAP(Contionous Positive Airway Pressure)
-
PEEP과 FiO2만 제공
-
최대한 짧게 제공 ➡️ Extubation
-
자발호흡 무시➡️ 환자 불편
합병증
주요 알람 발생 대처
Fee
- 약제 IDISTLP 중외멸균주사용증류수 1L/Bag
- 처치 Artificial Ventilation → 시간 확인
- 재료
- AAC54495 CIRCUIT, BREATHING (EVAQUA2, ADULT) (RT2380)[K4501370]
- FILTER, BACTERIA (SERVO DUO GUARD)
- GAS, LO2(TANK LORRY)
- ventilator 첫날 적용 시 O2 처방 수량 ‘20’설정
- ventilator 적용 15일부터 수량 ‘15’설정